뇌하수체종양 (D35.2) 일반암 진단비 보상 가능성은?
뇌하수체종양 질병분류코드 D35.2는 어떤 종양일까요?
대부분의 뇌하수체종양은 양성종양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으며 보험금 지급 역시 소액암으로 분류되어 지급됩니다.
보험사에서는 약관에 따라 지급하는 것으로
회사의 입장에서도 어쩔 수 없다는 태도를 보이는데요.
이러한 보험사의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이기엔
뇌하수체종양(D35.2)은 위험도가 높은 종양은 아닌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뇌하수체종양(D35.2)이 보통 양성으로 분류되는 것은 맞지만
종양의 크기나 위치, 치료방법, 환자의 예후에 따라
악성종양으로 인정을 받는 사례가 있습니다.
병리학적 기준으로만 본다면 양성종양으로 보는 것이
옳다고 보여지나 결국 악성종양과 같은 증상이나
치료를 했다면 임상학적 기준으로 암으로 판단하는 것이
맞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물론 무조건 주장한다고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닙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명확하고 객관적인 근거자료가
있어야 합니다.
만약 수술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위험도가 높아
수술을 할 수 없다면 조직검사를 통해
종양을 분류하는 것 또한 불가능하게 됩니다.
이 경우는 특히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여 임상학적 증상을
토대로 암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도록
방향을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뇌하수체종양(D35.2)으로 인해 시신경 손상이나 신체에
심각한 신경학적 결손이 발생했다면
임상학적 기준으로 암진단비, 고액암 등의 보험금을
지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단순히 진단서 상 양성종양으로 분류되었다고 하여
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없거나 일부만 받을 수
있다고 받아들여 쉽게 포기하지 마세요.
뇌하수체종양(D35.2)으로 진단되었으나 양성종양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암진단비를 지급받지 못하셨다면,
혹은 다른 뇌종양으로 비슷한 상황을 겪고 계신다면
홀로 고민하지 마시고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당연히 받기 어려울꺼라 여겼졌던 보험금이라도
전문가와 함께라면 보다 수월하게 해결방법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10년이상 보험사에서 보상을 맡아왔던 직원들이
소비자분들의 정당한 보상권리를 지켜드리겠습니다.
뇌하수체종양(D35.2) 암진단비 청구
무료상담 1544-4132
'뇌혈관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경색진단비 보험사의 주장은? (0) | 2018.09.12 |
---|---|
외상성뇌출혈 후유장해 보상 제대로 받으려면 (0) | 2018.07.22 |
외상성치매 후유장해보상은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요 (0) | 2018.06.01 |
저산소성뇌손상 후유장해 보상청구 안내 (0) | 2018.06.01 |
뇌출혈 후유증 보상은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 (0) | 2018.04.18 |